코로나 19로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가 일상화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불안과 답답함을 호 소하고 있다. 억눌린 심리에 따른 우울함을 표현하는 신조어 ‘코로나 블루’가 탄생하기도 했다. 감염병이 유행하는 시기의 심리적 방역은 면역 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, 물리적 방역만큼 이나 중요하다. 코로나 19 시대에 발생할 수 있는 정신적 질환과 치료법을 소개하고자 한다.
지나친 걱정, 건강염려증으로 확대
건강염려증은 실제 병에 걸리지 않았고 이상도 없지만, 병에 대해 지나치게 걱정하는 것을 말한 다. 신종 감염병이 갑자기 유행하면 사람들은 정 보가 없어 불안감에 휩싸이고, 불확실성을 회피하고자 가능한 많은 정보를 모으려 한다. 최근에 는 SNS를 통해 감염병과 관련된 루머가 확산돼 면서 사람들의 건강염려증이 더욱 커지고 있다. 이럴 때는 검증되지 않은 정보에 매몰되지 말고 질병관리본부의 공식 발표 등 확실한 정보를 파 악한 게 중요하다.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 대비 해, 보건소나 선별 진료소의 연락처를 알아두는 것도 좋다. 건강염려증 치료의 지름길은 심리적 압박을 가하는 요인을 찾아내고 이를 해소하는 것이다. 불가피한 상황은 조금씩 받아들이고 적 응해 나가는 훈련이 필요하다.
과도한 스트레스,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이어져
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정신적 외상, 즉 마음에 큰 충격을 주는 경험을 겪은 후에 나타나는 불안 장애를 의미한다. 신체적 반응으로 피로, 수 면장 애, 통증, 면역저하, 소화기능 감소, 성욕 감소 등 이 나타나며 인지능력이 떨어져 집중력 장애, 의 사결 정 능력 손상, 기억 장애, 인지 왜곡, 혼란이 발생한다. 또한 대인관계가 약해져 사회적으로 위축될 수 있는데, 감염병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게 되면 확진자에게 과도한 경계심과 배척 감, 혐오감을 느끼기도 한다. 스트레스 장애의 원인을 파악하여 왜곡된 점을 교정하는 인지 치료, 안정된 환경에서 트라우마 사건에 관해 이 야기하며 부정적인 생각을 조절하게끔 돕는 노출 치료 등 심리요법을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으며, 약물치료로도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.
우울감과 무기력증, 충분한 안정이 중요
감염병이 유행할 때 건강 문제에 지나치게 사로 잡혀, 흥미나 즐거움을 상실하고, 우울·불안·슬픈 감정과 공허함이 지속되는 경우 우울증이 될 수 있다. 때로는 불면, 식욕감퇴, 성욕감퇴 등 우울 한 기분 없이 신체적 증상만 보이는 경우도 있다. 그중 수면부족은 호르몬 불균형을 일으켜 면역력 저하를 일으키고, 수면부족이 장기간 지속돼 체내에 피로가 쌓이면 우울감이 나타난다. 그때 문에 수면 시간을 6~8시간 정도 충분히 확보하 고 수면의 질을 높이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. 또 한, 좋아하는 노래를 부르면서 신체의 활력을 찾거나, 잠깐이라도 햇볕을 쬐며 상쾌한 기분을 느 끼는 것도 우울감 극복에 큰 도움이 된다.
마음건강과 관련된 궁금증 알아보기!
Q1. 면역력 키우기 위한 심리적 방법에 어떤 것이 있을까요?
A:긍정적인 생각은 신경호르몬에 영향을 미쳐 면역력을 증가 시 킨다. 불안은 줄이고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하면 몸과 마음 사 이에 적절한 균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. 나만이 피해를 입 고 있는 상황이라기보다는 모두가 힘든 시기를 함께 겪고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주변을 돌아보자.
Q2. 낮잠을 자는 것도 우울감 해소에 도움이 되나요?
A:이른 오후 20~40분 정도의 짧지만 깊은 낮잠은 일상의 비 타민과 같아서 활기를 되찾아주고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어 우울감 해소에 도움이 된다. 다만, 불규칙한 낮잠, 특히 오후 3시 이후의 낮잠은 오히려 수면의 질을 방해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.
Q3. 심리적인 어려움이 계속된다면, 긴급히 도움받을 길이 있을까요?
A: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운영하는 정신건강 상담전화(1577- 0199)로 전화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. 상담전화는 24시간 365일 운영되며, 전국 어디에서나 전화를 걸면, 정신건강 상 담과 지지, 정신건강정보 제공, 정신의료기관 등을 안내받을 수 있다.